문화와 역사
비자당산에서 신이 된 신라왕자
장전마을 앞 북서쪽에 있는 배를 엎어 놓은 모양의 작은 동산이 비자당산이다.
40여 년 전만 해도 비자나무가 많았으나 지금은 거의 베어지고 몇 그루만 남아 있고, 옛날에 동산 꼭대기에 탕집잉 있었고 거기에 깊은 우물이 있었으나 근년에 와서 메워져 없어졌다.
아주 먼 옛날 임금님의 아들이 이곳에 와서 살았고, 이 왕자는 옛날 포상팔국중 한 나라의 왕자였거나 신라 왕자였다.
왕을 대신하여 이 곳을 방문하였다가 살기가 너무 좋고 아름다워 눌러앉아 집을 짓고 살다가 죽었다.
이 곳에 살던 사람들이 이 왕자를 위하여 당집을 짓고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오고 있고, 왕자가 죽어 용왕이 되었거나 바다를 지키는 해신이 되었다고도 전해지고 있다.
40년 전만 해도 당상에서 기우제를 지냈으며, 구전에 의하면 옛날에는 각종 선박이 이곳에 기착하여 용신제를 지내야만 무사히 항해할 수 있었다고 한다.
광복 후까지도 당밑 마을에 무속인이 살고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조선조 허목의 [미수기언] 제63권 습유편에 나오는 비자당산과 신라왕자의 이야기를 담은 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나는 용을 타고서 비취 날개 펼치고
거센 파도 능멸히 보며 의기가 양양하다
의기가 양양하니 그 기상 호탕하구나
끝없는 시야 밖엔 구름만이 침침하다
우수수 낙엽 지니 그 풍경 쓸쓸한데
바다에는 처량하게 부슬비 내리네
영수를 맞으려고 돌아감도 잊고서
한 해가 저무니 한숨만 더해진다
깨끗한 나의 행동 진실됨이나
애오라지 편안함도 근심이로다
이내 마음 초초하여 눈물 씻노니
그 누가 물가에 머물렀는가
벽려 옷 입고서 여라 띠 두르고
옥 패물 차고서 우두커니 서 있노라
교교한 감정이 긴 한숨되고
신령이 오는 양상 삽연하구나
백신이 어울려 함께 임하니
빛나는 듯 처량한 듯 눈물 흐르네
끊임없는 생각에 오락가락 하면서
패물도 버리고 모든 시름 떨쳐버리리
등등 북을 치고 즐거워하며
공자를 바라는 마음 변치 않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