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10.08. (토) ~ 09. (일)

남해섬 유배를 자처하노라

Home

문화와 역사

Home
문화와 역사
남해의 설화·민속

이성계의 조선 건국 설화와 금산

-

-

남해 금산 보림암 동쪽 삼불암 아래에 조선 태조기단이 있다. 이성계가 이곳에서 100일 동안 기도를 드린 끝에 산신령의 감응을 얻어 왕이 되었다는 전설과 이에 보은한다는 뜻에서 산 이름을 보광산에서 금산으로 개명하였다.

이성계는 금산 산신령을 향해 백일기도를 올렸고, 마지막 날 그는 난음 정자나무 아래에서 행신의 말을 듣고 온 젊은이의 말을 듣고 최선을 다해 상을 차리고 정성껏 기도를 드렸다.

백일기도 마지막 날 기도를 올린 이성계는 꿈을 꾸었고, 개성으로 향하는 자신의 등 뒤에 말뚝 세 개가 짐 지워져 있었다.

그 말뚝을 지고 개성에 도착하자 자신이 목없는 물병으로 변하는 것이었고, 그 목 없는 물병이 가마솥 안으로 걸어 들어가는 것이 아닌가?

놀라서 눈을 뜬 이성계는 두 개의 바위가 벌떡 일어나 있는 것을 보고 자신이 이 나라의 왕이 될 운명이라는 사실을 감지하면서도 꿈이 마음에 걸렸다.

급하게 보광산을 내려온 이성계는 해몽가를 찾아 자신이 꾼 꿈이야기를 했고, 해몽가는 큰절을 올리고 말했다.

"몸이 세로 기둥이 되고 세 개의 말뚝이 몸을 가로질렀으니 임금 왕자입니다. 그리고 목이 없는 물병은 한 손으로 따를 수 없으니 두 손으로 떠받드는 분이 될 것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물병이 가마솥 안으로 들어간 것은 장차 장군의 왕국이 철옹성처럼 굳건할 것임을 의미합니다. 감축드리옵니다."

이성계는 바위 두 개가 일어선 것과 꿈 해몽가의 이야기를 듣고 금산 산신령에게 고마움의 표시로 자신이 왕이 되면 금산 전체를 비단으로 감싸 주겠다는 약속을 했다.

그 후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신하들에게 보광산을 비단으로 덮으라고 명령했고, 하지만 조선에는 보광산을 모두 덮을 만한 비단이 없었고, 전전긍긍하던 신하들은 한 가지 묘안을 생각해 내었다.

"전하. 보광산을 덮어씌울 비단도 모자라거니와 비단으로 덮은들 1년도 못 되어 비에 썩고 바람에 날려 흉물스럽게 될까 걱정이옵니다."

"그럼 다른 묘안이 있겠는가?"

"보광산을 영원히 비단으로 덮을 수 없사오니 산의 이름을 비단 금자를 써서 금산이라 부르는 것이 마땅할 줄 아옵니다."

"그래, 그대들의 뜻이 옮도다. 그리하도록 하라."

이성계는 남해 금산을 영원히 비단처럼 아름답게 한다는 의미로 산 이름을 금산으로 명명하였다고 전해지고 있고, 그리고 금산이라는 이름을 지은 사람은 정도전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정도전이 경북궁의 전각들 이름을 지은 것이기 때문에 금산의 이름도 당연히 그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 출처금산 선은전
  • 이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