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역사
노루목전투
노루목전투
제주좋네 재주좋네 남해 사람 재주 좋네.
하루 밤에 통문 돌아 목 앞에다 진을 치고
만인간을 모아 놓고 김장방이 모은 군사
한윤서가 호걸 일세 영구영포 김영포야
많은 군사 다 어쩌고 임술군만 낮잠 자네.
위 민요는 1984년에 작고한 조금악(1895년생)여사 에 의해 전해진 구전민요 이다. 이 민요가 말해 주듯 이 임진왜란 때에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기 위해 남해 안을 가로 질러 사량도 앞바다를 지나 남해도로 진입 했는데 그들이 먼저 해야할 일은 군량미를 확보하는 것이었던 모양이다.
원래 큰 곡창은 호남지방인데 거기에 이순신 장군 이 지키고 있는 좌수영이 있기 때문에 이들은 사천만 을 통하여 육로로 곡창을 점령하기 위하여 먼저 들린 곳이 바로 당시 남해에는 정부양곡을 수집하던 둔촌 과 그 식량을 배로 실어 나르는 창선면 해창이 있었 다. 이 두 지역은 바로 같은 해협에 위치해 있기 때 문에 이곳을 먼저 점령하기 위하여 당시 일본군선의
일부가 이 피항지에 들였다는 것이다.
라오고 전황이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를 보면 남해 쪽에서 연기가 심상찮아서 몰래 정탐군을 보냈더니 그들이 돌아와서 보고하 으로 갔고 나머지 군사들은 질겁하여 곳곳에 불을 지르고도 그때 도망가지 않고 고향을 지키면서 남아 있던 민간인들 노루목에 정박한 왜군을 치기 위하여 밤새 통문을 보내어 사람을 모으고 정한 배에 불을 지른
만호는 우수영 졌다고 했다.
것이다.
금천 항구는 수심이 낮고 갯벌지역이라 밀물 때에는 물이 넘쳐도 썰물 때에는
군선이 움직이지 못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마을 주민들은 이러한 점을 이용하
여 공격하여 적선의 상당수를 격파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이 해전은 정사에는 기록되지 못한 것은 이순신 장군 휘하 정탐병이 이미 다녀 간 후의 일이고 그때 관이나 국가 당국자 역시 도망가고 아무도 없었고, 기록 만한 여건도 되지 못했기 때문에 민간에서 구전 민요와 설화로 이 사실이 전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