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10.08. (토) ~ 09. (일)

남해섬 유배를 자처하노라

Home

문화와 역사

Home
문화와 역사
남해의 문화재

임종욱 작가의 남해사우(祠宇)를 찾아서 #4 무민사

남해사우 무민사

남해사우 무민사

  • 소재지 : 미조면 남서대로 14-11
  • 문화재종류 :-
  • 지정일 :-

■임종욱 작가의 남해사우(祠宇)를 찾아서 #4 무민사
나라와 남해를 지킨 세 분 장군을 모시다

 

무민사(武愍祠, 미조면 남서대로 14-11)는 충렬사와 함께 나라를 지킨 장군 세 분을 모신 남해의 사우다. 미조항으로 들어가는 길목 왼편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무민사 앞에 서면 왼쪽으로는 시원하게 트인 바다가 들어오고 오른편에는 망산(해발 287미터)이 당당하며, 가운데로 미조초등학교와 미조면 시내가 나직이 이어진다.
무민사는 보통 무민공(武愍公) 최영(崔瑩, 1316-1388) 장군만 모신 것으로 알고 있지만, 성윤문(成允文, ?-?) 장군과 최헐(崔歇, 1564-1598[1599]) 장군 두 분의 신위도 함께 봉안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세 분 모두 나라를 위해 신명을 바친 호국의 영령이시다.
무민사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는데, 성윤문 장군의 꿈 이야기가 가장 신빙성이 있다.
성윤문은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선조 27년에서 29년(1594-1596) 미조진항에서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를 지냈다. 어느 날 꿈에 노장(老將)이 나타나 나의 진영(초상)이 해안에 떠내려 왔을 것이니 이를 거둬 안치해 달라고 부탁했다. 깨어나 사람을 보내니 과연 바닷가에 나무함이 있었다. 안에 진영과 명패(名牌), 장도(長刀)가 있어 해안 앞산(지금 이름 암살)에 초당 한 칸을 짓고 봉안했다는 것이다. 1595년 무렵의 일로 추정된다.
그러다 초당이 화(禍, 태풍)를 당해 유실되자 지금 자리(당시 미조진성 북쪽 망루가 있던 곳)로 옮겨 소박한 사당을 지어 봉안했고, 이름을 ‘장군당’이라 불렀다. 오랫동안 영험한 장소로 알려져 안전한 고기잡이와 풍어를 기원하는 제를 올리는 등 성소로 모셔졌다.

 

국난을 맞아 왜적을 무찌른 세 장군


무민사가 모시는, 고려 말기의 장군 최영에 대해서는 긴 설명이 필요 없을 듯하다. 당시 활개를 쳤던 왜구들을 곳곳에서 섬멸해 빛나는 공을 세웠다. 남해와의 인연은 1380년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에 올랐을 때 남해를 순시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장군은 명나라의 터무니없는 요구에 맞서 요동정벌에 나섰다가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자 체포되어 최후를 맞았다. 이성계도 장군의 공적을 감추지는 못해 조선이 개국한 지 6년 뒤 무민(武愍)이란 시호를 내렸다.
성윤문 장군은 임진왜란 내내 왜적을 무찌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본관은 창녕이다. 임란 후기에는 여러 차례 생포한 왜병으로부터 적국의 동향을 파악해 보고함으로써 대비하는 시간을 벌어주기도 했다. 임란 이후에도 중요 관직을 역임했다.
무민사에 장군이 모셔진 까닭은 앞서 본 무민사의 유래에서 알 수 있다. 남해에서 첨사로 근무하면서 초당을 지어 최영 장군을 기렸고, 임란 때 국난 극복에 앞장선 공적을 기려 1960년 함께 봉안되었다.
병조참의 최헐 장군은 1969년에 배향되었다. 장군의 본관은 초계고, 자는 효형(孝亨)이다. 젊어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이 뛰어났으며, 말 타기와 활쏘기도 능숙했다. 임진왜란이 터지자 분연히 떨쳐 일어나 이순신 진영에 들어가니 충무공이 무척 기뻐했다고 한다.
전란 중에 장군은 위험을 두려워하지 않고 용맹하게 싸우다가 탄환에 맞아 노량의 당포(唐浦)에서 36살로 전사했다. 지금도 미조면 사항마을 뒷산에 묘소가 있다. 전쟁이 끝난 뒤 조정에서 그의 공훈을 기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이 녹권했다.
최헐 장군이 무민사에 봉안된 것은 11대손 최영수 님이 미조 상록수림 옆에 <증병조참의최공사적비>를 1965년에 세우고 미진한 느낌이 있어 무민사에 배향하기를 요청해 이루어졌다. 남해 바다를 지키다가 순국한 장군이라 흔쾌히 받아들여졌다.
최헐 장군이 전사한 해에 대해서는 2014년 간행된 "남해사우총람(南海祠宇總覽)"(223쪽)에는 무술(戊戌, 1598)년 11월 19일로 되어 있고, <증병조참의최공사적비>에는 기해(己亥, 1599)년 10월 18일로 나와 있어 좀 더 상고할 필요가 있다.

 

해방 이후 오늘까지 이어지는 추모


무민사는 일제강압기 때는 거의 방치되었다. 그러다 한국전쟁 뒤 1954년에 지역의 뜻 있는 분들이 모여 보존회를 결성해 사우를 중건하자 결의했다. 1955년 중건 상량식을 가졌고, 1960년 정식으로 출범했다.
무민사보존회 천금종 회장과 조정렬 총무의 말에 따르면, 처음에는 음력 9월 9일 봉안제를 가지다가 1982년 음력 3월 13일로 옮겼고, 다시 2008년부터 양력 4월 13일 제례를 올린다고 한다. 이 때문에 두 차례 제를 지낸다는 말이 있다면서, 이는 오해라고 지적했다.
지금 보존회 회원은 10여 명이 조금 넘는다. 이전에는 더 많았는데, 세상을 떠나거나 남해 밖으로 옮겨 살아 단출해졌단다. 젊은 사람들의 참여가 절실하니 다들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무민사가 중건될 때 미조와 남해의 여러 유지들이 동참했다. 나라가 누란의 위기에 허덕일 때 아낌없이 목숨을 던진 세 분 장군을 기리는 마음이 예전과 다를 수는 없다. 때마다 찾아 나라사랑의 정신을 되새기면 좋은 듯하다.

  • 출처-
  • 이미지 출처-